본문 바로가기

Bible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마태복음 22:15-22

15.이에 바리새인들이 가서 어떻게 하면 예수를 말의 올무에 걸리게 할까 상의하고

16.자기 제자들을 헤롯 당원들과 함께 예수께 보내어 말하되 선생님이여 우리가 아노니 당신은 참되시고 진리로 하나님의 도를 가르치시며 아무도 꺼리는 일이 없으시니 이는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아니하심이니이다

17.그러면 당신의 생각에는 어떠한지 우리에게 이르소서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으니이까 옳지 아니하니이까 하니

18.예수께서 그들의 악함을 아시고 이르시되 외식하는 자들아 어찌하여 나를 시험하느냐

19.세금 낼 돈을 내게 보이라 하시니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왔거늘

20.예수께서 말씀하시되 이 형상과 이 글이 누구의 것이냐

21.이르되 가이사의 것이니이다 이에 이르시되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22.그들이 이 말씀을 듣고 놀랍게 여겨 예수를 떠나가니라

 

샬롬^*^

오늘도 말씀을 통해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아가는 하루 보내시길 축복합니다.

 

저는 오늘 본문을 통해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라는 제목으로 말씀의 은혜를 나누기 원합니다.

 

유대 종교 지도자들은 백성들의 관심이 예수님께로 향하자 시기와 질투로 가득 차 예수님께서 무슨 권위로 백성들을 가르치는지 논쟁을 벌였습니다.

 

이때 예수님께서 침례 요한의 침례가 어디로부터 왔는지? 하늘로부터인지 사람으로부터 인지 질문하자 이들은 한마디 대답도 못하고 그 자리를 떠났습니다(마 21:23-27).

 

종교지도자들이 종교 문제로 예수님께 논쟁을 벌였다가 완패를 당한 후 이제 어떻게 하면 예수님을 말에 올무에 걸리게 할지 상의를 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생각해 낸 것이 바로 로마 정부에 대한 납세 문제로 예수님께 재도전을 했습니다.

예수님과 논쟁을 벌였다가 완패를 당한 이들은 이제 자기 제자들과 헤롯 당원들을 예수님께 보냈습니다.

 

바리새인과 헤롯 당원들은 종교적이고 정치적인 면에서 서로 다른 견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잦은 충돌을 일으켰던 사이였습니다.

 

그런데 이들이 함께 온 것은 예수님을 정치적인 올무에 빠지게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온 것입니다.

평소에 원수 같이 지내던 자들이 예수님을 올무에 빠지게 하기 위해서 친구가 된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을 향한 칭찬을 쏟아 놓았습니다.

 

먼저 선생님이라고 부르면서 접근했습니다.

바리새인들은 자기들의 위신과 체면을 지키기 위해 자신들의 제자들을 내세워 진실한 구도자의 모습으로 가장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예수님으로부터 원하는 대답을 이끌어내기 위해, 즉 대답을 하지 않으면 안 되도록 최고의 칭찬을 했습니다.

 

'선생님이여'(디다스칼레)는 랍비와 같은 의미로 진리와 권위를 갖춘, 가르치는 자로 인정하는 말입니다.

 

바리새인들이 처음에 예수님께 와서는 '네가 무슨 권위로' 가르치느냐고 했던 말투와는 정 반대로 이제 예수님을 칭찬하고 추켜세우는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둘째는, '당신은 참되시며'(알레데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은 바리새인들이 참으로 입에 담기 어려운 말이었으나 예수님을 선지자로 믿는 백성들이 듣도록 한 말입니다. 이것은 '선한 선생님'이라는 표현처럼 그들로서는 파격적인 높임이었습니다.

 

참되신 선생님은 옳은 것과 그른 것을 판단하여 가르칠 수 있고, 진리로 하나님의 도를 가르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말은 참되신 선생님이니까 어렵고 미묘한 문제라 할지라도 명쾌한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자신들이 할 질문에 대하여 명확한 답변을 해야 한다는 압박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셋째로, '아무도 꺼리는 일이 없으시니'라고 말했습니다.

 

예수님은 지금까지 참되게 가르치고 행하셨고, 백성들의 여론과 인기를 고려하지 않았고, 관원들의 권세를 두려워하지 않았음을 지적하는 말입니다.

 

또한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아니하심이니이다.' 라면서 예수님을 추켜세웠습니다.

이들은 이렇게 열렬한 지지로 예수님의 해답을 갈망하는 것처럼 가장했습니다.

 

그리고 이들이 한 질문입니다.

 

마태복음 22:17

17.그러면 당신의 생각에는 어떠한지 우리에게 이르소서 가이사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으니이까 옳지 아니하니이까 하니

 

이스라엘은 로마의 지배하에 있었고 로마는 토지세와 소득세 인두세를 받았습니다.

 

여기의 '세금'(켄소스)는 인두세로서, 로마 제국은 자기들의 통치를 받는 지역의 남자는 14세 이상부터, 그리고 여자는 12세 이상부터 65세에 해당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인두세를 부과했습니다. 이 세금에 대한 유대인들의 저항이 컸습니다.

 

헤롯 당원들은 친 로마적인 정치 성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세금에 대해서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수님이 세금을 내는 것을 부정한다면 헤롯 당원들이 예수님이 로마제국에 반역을 한다고 고발할 것입니다.

 

반대로 세금을 내는 것이 옳다고 말한다면 유대 종교지도자와 이스라엘 백성들의 저항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빌미로 예수님을 민족 반역자로 고발할 계획이었습니다.

 

어떻게 대답을 하더라도 예수님은 올무에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예수님은 그들에게 세금 낼 동전을 보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 물으셨습니다.

 

여기 이 형상과 이 글이 누구의 것이냐?”

그들은 가이사의 것이니이다.”라고 대답했습니다(마 22:20-21).

 

그리자 예수님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라고 말씀하시고 멋지게 그들의 올무에서 빠져나오셨습니다..

 

당시 로마 화패인 데나리온에는 황제의 형상이 부조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은 로마 황제의 형상이 부조되어 있는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바치고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고 말씀하시므로 그들은 예수님의 대답에 놀라 돌아갔습니다.

 

이들은 예수님을 올무에 빠뜨리려고 했지만 이번에도 실패했습니다.

 

오늘 우리는 예수님의 대답을 마음에 새겨보아야 할 것입니다.

예수님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바치고,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는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국민으로서 마땅히 납세의 의무를 감당해야 합니다.

예수님은 탈세하라고 말씀하시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세상의 의무를 다하는 정직한 그리스도인이 되어야 합니다.

 

창세기 1:27

27.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저와 여러분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하나님의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삶을 하나님께 바쳐야 합니다.

 

내 인생이라고 내 뜻과 내 계획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나를 창조하신 계획이 무엇인지 알고 하나님이 허락하신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저와 여러분은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삶을 살 수 있기를 축복합니다.

 

기도하겠습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하나님의 자녀인 우리의 삶을 하나님께 받치기를 원합니다. 우리가 누구의 형상을 닮은 누구의 자녀인지 날마다 인식하고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하나님의 자녀의 삶을 살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기도 제목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우리를 하나님께 온전히 받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핵심요약

바리새인과 헤롯 당원들이 예수님을 올무에 빠뜨리기 위해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은지 받치지 않는 것이 옳은지 질문했을 때 예수님은 세금 낼 돈을 보이라고 하시고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고 하시면서 그들의 올무에서 벗어나셨습니다.

 

 

728x90
반응형

'Bi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익부 빈익빈  (0) 2022.02.01
암탉이 그 새끼를 날개 아래에 모음 같이  (0) 2022.01.17
Want - 원하다  (1) 2022.01.06
인간의 완악함  (0) 2022.01.05
용서의 원리  (0) 2022.01.04